Kubernetes CronJob을 활용해 Java 기반 Spring Batch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에서, 작업 시간이 초과되었을 때의 강제 종료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activeDeadlineSeconds를 활용하면 설정된 시간 초과 시 작업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Kubernetes는 종료 시 SIGTERM을 먼저 보내고, 이후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동안 graceful shutdown을 기다립니다. 이 시간이 지나야 SIGKILL을 더 읽기
Spring BeanCreationNotAllowedException: Singleton Bean 생성 오류와 종료 시점 문제 해결법
1. 오류 메시지 Spring 종료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발생 시점 Spring 애플리케이션 종료 중, 별도 쓰레드 또는 병렬 처리 중에 ApplicationContext.getBean() 을 호출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비동기 처리 로직 내에서 Bean을 호출한 경우입니다: 3. 주요 원인 4. 해결 방법 4.1 Bean 사전 주입 더 읽기
Spring Batch 병렬 처리 시 “Scope ‘job’ is not active” 오류 해결 방법 (Spring Boot 3 + Batch 5)
Spring Batch 병렬 처리 시 발생하는 Scope ‘job’ is not active 오류와 해결 방법 Spring Boot 3 + Spring Batch 5 환경에서 병렬 Step 처리(TaskExecutorPartitionHandler)를 구현하던 중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cope ‘job’ is not active for the current threadNo context holder available for job scope 해당 오류는 더 읽기
Spring Batch Stack Trace 분석: 예외 발생 위치와 전달 순서 이해하기
Spring Batch 기반의 배치 작업을 수행하던 중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했습니다. com.sample.common.exception.CustomException: 테스트용 오류 발생 예시입니다. at com.sample.batch.job.ExampleJob.lambda$1(ExampleJob.java:174) … at com.sample.SampleBatchApplication.main(SampleBatchApplication.java:118) 해당 Stack Trace를 보면 ExampleJob.lambda$1 메서드에서 CustomException이 발생했으며, 이 예외는 Spring Batch 내부 프로세스를 거쳐 main() 메서드까지 전파되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외 전달 순서를 주목할 수 있습니다: 더 읽기
Datadog에서 MySQL 커스텀 메트릭 수집 문제 해결기 (샘플 기반)
Datadog을 통해 MySQL의 특정 상태 값을 모니터링하고자 커스텀 메트릭을 구성했지만, 기대한 메트릭이 수집되지 않아 많은 시간을 소요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샘플과 함께 공유합니다. 문제 상황 원인 분석 초기 YAML 구성에서 database 설정이 있었음에도, 커스텀 쿼리에서 fully qualified name (schema.table)을 사용하지 않으면 MySQL에서 USE database가 더 읽기
Kubernetes 환경에서 Spring Boot 배치 오류 전파 및 종료 코드 처리
1. 문제 상황 Spring Boot 기반 배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시 CallRunner까지 예외 전파 및 종료 코드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2. 원인 분석 3. 해결 방법 ✅ 1️⃣ 예외가 CallRunner까지 정상적으로 전파되도록 설정 ✅ 2️⃣ System.exit() 실행 위치 조정 ✅ 3️⃣ Kubernetes Pod 종료 상태 더 읽기
Spring Boot 비정상 종료 시 Kubernetes에서 CrashLoopBackOff 방지하는 방법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Kubernetes 환경에서 실행할 때, 비정상 종료(System.exit(1)) 처리를 적절히 하지 않으면 두 가지 주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는 Spring의 종료 프로세스를 올바르게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려면 비정상 종료 시에도 Spring의 컨텍스트 종료 이벤트(ContextClosedEventListener)를 정상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 문제 원인 분석 1️⃣ IllegalStateException: ApplicationContext 더 읽기
Git 오류 해결: “Cannot pull into a repository with state: MERGING_RESOLVED” 문제 해결 방법
Git에서 git pull을 실행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ulling 1 repositoryCannot pull into a repository with state: MERGING_RESOLVEDCannot pull into a repository with state: MERGING_RESOLVED 이 오류는 Git이 병합(Merge) 과정에서 MERGING_RESOLVED 상태로 남아있어 git pull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 발생합니다.즉, 병합 충돌이 해결된 상태지만 아직 커밋(commit)이 완료되지 더 읽기
Spring Batch 오류 전파 및 NOOP 해결 방법 (자동 실행 vs 수동 실행)
Spring Batch 실행 중 오류가 main()까지 전달되지 않는 문제와 NOOP 상태(All steps already completed or no steps configured for this job.) 발생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자동 실행(Spring Boot spring.batch.job.enabled=true)과 수동 실행(spring.batch.job.enabled=false 후 JobLauncher 직접 호출) 방식에 맞게 정리하였습니다. 1. Spring Batch 오류 전파 문제 🔍 문제 상황 2. 자동 실행 더 읽기
AWS Aurora MariaDB에서 락 발생 시 자동 롤백 설정 방법
AWS Aurora for MariaDB를 사용하다 보면 트랜잭션이 락을 점유한 상태로 오래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다른 트랜잭션이 대기해야 하며, 성능 저하나 데드락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트랜잭션이 일정 시간 이상 락을 유지하면 자동으로 롤백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innodb_lock_wait_timeout 설정 (트랜잭션 대기 시간 제한) InnoDB에서 트랜잭션이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