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류 메시지 Spring 종료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발생 시점 Spring 애플리케이션 종료 중, 별도 쓰레드 또는 병렬 처리 중에 ApplicationContext.getBean() 을 호출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비동기 처리 로직 내에서 Bean을 호출한 경우입니다: 3. 주요 원인 4. 해결 방법 4.1 Bean 사전 주입 더 읽기
spring
AWS Aurora RDS(MySQL) 환경에서 HikariCP의 keepaliveTime이 필요 없는 이유
AWS Aurora RDS(MySQL 호환) 환경에서 HikariCP의 keepaliveTime 설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좋다는 점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Aurora는 일반적인 MySQL과는 다르게 커넥션을 관리하는 방식이 다르며, 이를 고려하여 커넥션 풀링 전략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Aurora MySQL의 커넥션 관리 특성 Aurora MySQL은 MySQL과 호환되지만 내부적으로 분산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자동 장애 조치(Failover) 더 읽기
EKS 환경에서 Pod 장애 발생 시 요청을 이어받아 처리하는 방법
1. 개요 EKS 환경에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개의 Pod에서 실행되고 있을 때,특정 Pod가 요청을 처리하는 중 장애로 종료되면, 다른 Pod에서 동일 요청을 이어서 처리할 수 있는가? 이 문서에서는 일반적인 CRUD 요청과 파일 업로드 요청 모두에 대해Pod 장애 발생 시에도 중단 없이 이어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2. 첫 더 읽기
AWS Aurora Failover 대비 Spring Boot 트랜잭션 유지 및 커넥션 폐기 대응 방법
AWS Aurora를 사용하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Writer 장애(Failover) 발생 시 트랜잭션을 유지하면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Aurora 클러스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Writer 장애 발생 시 기존 커넥션이 유지되지 않으며, 트랜잭션 처리 방식은 autocommit 설정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이 글에서는 Aurora 장애 발생 시 트랜잭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최적의 대응 방법을 더 읽기
Kafka 컨슈머를 EKS에서 운영할 때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
1. 개요 Kafka 컨슈머를 Amazon EKS 환경에서 운영할 때, Pod가 생성 및 삭제되면서 중복 소비, 메시지 누락, Rebalance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Kafka 컨슈머의 동작 방식과 안정적인 운영 방법을 정리합니다. 2. Kafka 컨슈머와 EKS의 배포 방식 EKS에서는 Rolling Update 방식으로 새로운 버전의 Pod를 배포하면 기존 Pod가 더 읽기
Spring Batch 5.1.2에서 HikariCP 연결 문제 해결 방법
Spring Batch 5.1.2를 사용하면서 HikariCP 연결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재시작 또는 세션 종료 후 커넥션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문제 원인 분석 Spring Batch는 배치 작업을 실행하면서 데이터베이스와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HikariCP의 더 읽기
스프링 AOP에서의 용어
AOP란 관점지향 이라는 뜻으로 간단하게 말하면 어떤작업을 하기전에 해당 데이터를 미리 처리해주고 해당 작업을 끝내고 후에 데이터를 또 처리를 해줘야 할 때 쓰는 기능이다. 혹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쇼핑몰에 접속자 숫자를 카운터 하는 기능을 생각하면되겠다. Joinpoint :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 시점, 메소드 호출 시점 및 예외 발생 시점 과 같이 더 읽기
spring(스프링) servlet.PageNotFound
우선 뜬 오류를 말씀드리면 난 분명히 servlet.xml에 /ㅁㅁㅁ/ㅁㅁㅁ.do=메소드명 이렇게 매핑을 잘 해놨다.. 다른건 잘되는데 유독 한 메소드만 되지 않았따.. 해당메소드는 public ModelAndView processIdCheck(HttpServletRequest request,Account account){ int flag=0; account = JoinIdCheck(request); if(account==null){ flag=1; }else{ flag=-1; } request.setAttribute(“id”, request.getParameter(“id”)); request.setAttribute(“flag”, flag); return new ModelAndView(); } 이렇게 정이되었었따. 콘솔로 출력할땐 No request handling method with name ‘test’ in class [com.account.controller.AccountController]2012-01-08 21:43:50,447 – Null ModelAndView 더 읽기
스프링 DI개념과 간단한 소스
클래스들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보통 new SeoulServer();를 써서 객체를 생성해서 썼지만, 후에, 요구사항이 변경되면 코드도 엄청나게 수정해야 한다. 스프링을 적용하여 applicationContext.xml에서 설정만 해주면, 외부 설정파일(xml)에서 연관관계에 있는 객체를 넣어주기(주입) 때문에 의존객체를 찾기 위한 코드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외부설정에서 객체를 찾아서 쓰기 때문에 코드내에 의존관계를 맺는 코드 생성이 불필요한것이다.<o:p></o:p> <o:p> </o:p> 의존(Dependenty)하는 객체를 외부설정에서 삽입 (Inject)을 해주기 때문에 이 방식을 DI 패턴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DI를 적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의존관계를 줄이거나 없애버릴 수 있다.<o:p></o:p> 코드 수정없이 객체를 생성..ㅇㅋ?ㅋㅋㅋ // ——————————————————————————–<o:p></o:p> // applicationContext.xml<o:p></o:p> // ——————————————————————————–<o:p></o:p> <?xml version=”1.0″ encoding=”UTF-8″?><o:p></o:p> <beans<o:p></o:p>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o:p></o:p>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o:p></o:p>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2.0.xsd“><o:p></o:p> <bean id=”manager” class=”di.ServerManager”></bean><o:p></o:p> <bean id=”server” class=”di.SeoulServer”></bean><o:p></o:p> <o:p> </o:p> </beans><o:p></o:p> <o:p> </o:p> <o:p> </o:p> 더 읽기
Spring Application [applicationContext.xml] 오류
javax.xml.parsers.ParserConfigurationException: Unable to validate using XSD: Your JAXP provider [org.apache.crimson.jaxp.DocumentBuilderFactoryImpl@131f71a] does not support XML Schema. Are you running on Java 1.4 or below with Apache Crimson? Upgrade to Apache Xerces (or Java 1.5) for full XSD support. 이런 당황스런 오류를 발견 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자바 1.4의 XML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