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urora RDS(MySQL) 환경에서 HikariCP의 keepaliveTime이 필요 없는 이유

AWS Aurora RDS(MySQL 호환) 환경에서 HikariCP의 keepaliveTime 설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좋다는 점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Aurora는 일반적인 MySQL과는 다르게 커넥션을 관리하는 방식이 다르며, 이를 고려하여 커넥션 풀링 전략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Aurora MySQL의 커넥션 관리 특성 Aurora MySQL은 MySQL과 호환되지만 내부적으로 분산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자동 장애 조치(Failover) 더 읽기

EKS 환경에서 Pod 장애 발생 시 요청을 이어받아 처리하는 방법

1. 개요 EKS 환경에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개의 Pod에서 실행되고 있을 때,특정 Pod가 요청을 처리하는 중 장애로 종료되면, 다른 Pod에서 동일 요청을 이어서 처리할 수 있는가? 이 문서에서는 일반적인 CRUD 요청과 파일 업로드 요청 모두에 대해Pod 장애 발생 시에도 중단 없이 이어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2. 첫 더 읽기

AWS Aurora Failover 대비 Spring Boot 트랜잭션 유지 및 커넥션 폐기 대응 방법

AWS Aurora를 사용하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Writer 장애(Failover) 발생 시 트랜잭션을 유지하면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Aurora 클러스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Writer 장애 발생 시 기존 커넥션이 유지되지 않으며, 트랜잭션 처리 방식은 autocommit 설정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이 글에서는 Aurora 장애 발생 시 트랜잭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최적의 대응 방법을 더 읽기

자바(java) 기초 7편.

Connection Pool *   : Connection을 반드시 연결해야 되는데 Connection을 맺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    예> dept를 select ==> 10초가 걸렸다. *         ==> Connection 맺는 시간이 8초. *   ==> 미리 처음에 Connection을 4개 정도를 미리 맺어서 *    특정 클래스(Connection Pool)에 저장한다. *    필요하면 특정클래스에 메소드를 호출해서 Connection을 얻어서 사용한다. *    사용한 후에 반드시 돌려줘야 한다. Connection Pool 더 읽기